Bradely Curve(브래들리 커브) 안전문화 모델 4단계 완벽 해설
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Bradely Curve(브래들리 커브) 안전문화 모델 4단계 완벽 해설

by 좋은 것 나누기 2025. 7. 22.
반응형

조직의 안전문화를 한눈에 — 단계별 특징과 성공전략

📌 목차



1. Bradely Curve란?

Bradely Curve(브래들리 커브)는 글로벌 기업 DuPont(듀폰)에서 제시한 조직 안전문화 성숙 모델로,
기업·기관의 안전관리 수준을 4단계로 구분해 시각적으로 표현한 국제적 표준입니다.
이 모델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조직의 안전 성숙도가 진화하며,
사고율 감소와 안전행동의 내재화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설명합니다.

2. Bradely Curve 4단계 한눈에 보기

단계 영어명(Eng) 주요 특징
1단계 Reactive 반응적: 사고 발생 후에만 조치, 본능 및 생존본위 위험 관리
2단계 Dependent 의존적: 법규·내규·관리자 지시에 따라 행동, 관리감독 의존
3단계 Independent 독립적: 개인 스스로 안전책임, 적극적/창의적 위험 예방
4단계 Interdependent 상호의존적: 팀원 간 상호 책임, 서로의 안전까지 챙기는 문화

📌각 단계 설명

  • 1단계(반응적, Reactive): 사고 발생 후 대응, 규정 이해 부족, “사고는 어쩔 수 없다” 인식
  • 2단계(의존적, Dependent): 법·지시에 의존, 수동적 사고, 조직 규율 강조
  • 3단계(독립적, Independent): 자기주도적 위험예방, “내가 책임진다” 마인드
  • 4단계(상호의존적, Interdependent): 팀 차원의 책임 공유, 피드백과 집단적 안전문화 정착

Bradely Curve(브래들리 커브) 4단계

3. 단계별 안전문화 성숙 행동 및 달성 전략

단계 행동 양식 조직 실천전략
1단계 피동적/즉흥적 <사후행동형> 기초 교육, 사고기록 기반 마련
2단계 규칙 중심, 감독 의존 <지시행동형> 체계적 교육, 리더십의 롤모델화
3단계 자율적·주도적 <자율행동형> 동기 부여, 캠페인, 자기성찰 툴 도입
4단계 상호신뢰와 팀워크 <협동행동형> 팀빌딩, 피드백 문화 구축, 공통 목표 설정

핵심: 각 단계에 맞는 행동 양식을 실천하며 의식변화와 문화 혁신이 필수입니다.

4. Bradely Curve의 조직적 의미

  • 단계가 높아질수록 사고율은 급격히 감소
  • 4단계 도달 시 위험예방력·생산성·신뢰도 모두 극대화
  • 리더의 롤모델링팀 간 상호작용이 핵심 동력

 

Bradely Curve의 4단계는 성과 높은 안전문화를 구축하고자 하는 모든 조직에 필수 가이드라인을 제시합니다.
우리 조직(팀)의 안전 수준이 어디에 있는지, 앞으로 어떻게 실천해야 할지 꼭 점검해보세요!

.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