2025 밀폐공간 출입작업 허가 기준과 적정농도 완벽정리
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2025 밀폐공간 출입작업 허가 기준과 적정농도 완벽정리

by 좋은 것 나누기 2025. 7. 24.
반응형

밀폐공간 출입작업은 각종 산업재해 중 치명적 질식사고로 이어질 수 있어 적정농도 기준의 사전확인과 엄격한 작업허가 절차가 중요합니다. 이 글에서는 적정공기의 농도 기준과 실무 적용 포인트를 상세하게 안내합니다.

 

목차

  1. 밀폐공간이란? 개념과 사고 위험
  2. 밀폐공간 출입작업 허가 기준
  3. 적정농도 기준 상세 설명
  4. 측정 및 관리 절차
  5. 적정공기 미달 시 조치 방법
  6. 현장 체크리스트&실천팁

 

1. 밀폐공간이란? 개념과 주요 사고 위험

  • 밀폐공간: 산소결핍, 유해가스, 화재·폭발 위험이 있어 자연환기가 어렵고, 위험이 쉽게 제거되지 않는 공간
  • 주요 사고 유형: 질식, 중독, 폭발, 화재 등

2. 밀폐공간 출입작업 허가 기준

  • 출입 전 작업허가 필수 – 작업 위치, 시간, 인원, 사전 평가, 측정결과 등이 포함된 허가서 작성
  • 허가권자의 적정농도 확인 후 허가

 

3. 적정농도 기준 상세 설명

구분 적정농도 기준
산소(O₂) 18% 이상, 23.5% 미만
이산화탄소(CO₂) 1.5% 미만
일산화탄소(CO) 30ppm 미만
황화수소(H₂S) 10ppm 미만
가연성가스 하한폭발한계치(LFL)의 10% 미만

4. 측정 및 관리 절차

  • 허가 전 측정: 산소 및 유해가스 측정 필수
  • 측정자: 안전관리자, 감독자, 지정기관 등
  • 작업 중 측정: 장시간 작업 시 정기적 재측정
  • 측정 위치: 상·중·하부 및 출입구 주변 등

 

5. 적정공기 미달 시 조치 방법

  • 강제환기 및 재측정
  • 정상 농도 도달 후 허가 재발급
  • 개인보호구 지급: 송기마스크 등 필요 시

 

6. 현장 체크리스트 & 실천팁

  • 출입 전 허가서 및 농도 측정 확인
  • 감시인 배치 및 비상연락체계 운영
  • 이탈 후 재입장 시 재측정 원칙 준수
  • 모든 결과 및 조치 내용 문서화
  • 특이상황 시 즉시 보고 및 조치

 

 

※ 밀폐공간 적정농도 기준 준수는 근로자 생명을 지키는 첫걸음입니다.
본 포스팅은 2025년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, 안전보건공단, 최신 현장 실무 자료 등을 바탕으로 작성되었습니다. 실제 관리 및 측정은 관련 법과 작업 현장 상황에 따라 반드시 맞춤 적용하세요.

.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