칸디다 아우리스(Candida auris) 감염질환 알아보기
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칸디다 아우리스(Candida auris) 감염질환 알아보기

by 좋은 것 나누기 2025. 8. 27.
반응형

 

칸디다 아우리스(Candida auris)는 전 세계적으로 빠르게 확산되고 있는 신종 진균 감염으로, 특히 면역력이 약한 환자에서 치명적인 감염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.

정의

Candida auris(Candidozyma auris)에 의한 감염질환으로, 병원 환경에서 오랫동안 생존 가능하고, 항진균제 내성이 강해 치료가 까다로운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.

국내 발생 현황

  • 2009년 중이염 환자에서 처음 15사례가 보고됨.
  • 같은 해 다기관 조사에서 전신감염 3례 확인 (1례는 1996년 발생).
  • 국내 토착형 Clade Ⅱ 균주(저병원성)는 주로 귀에서 분리, 혈류감염은 드묾.
  • 2022년 이후 Clade I 균주(고병원성)에 의한 의료기관 집단감염 발생 → 중증사례 증가 추세.

최초 보고

2009년 일본에서 세계 최초 발생이 보고되었습니다.

국외 발생 동향

지난 10년간 유럽, 아프리카, 북미, 남미, 아시아 등 60여 개국에서 보고되었습니다. 특히 의료기관 내 집단발생침습성 감염으로 공중보건적 위협이 커지고 있습니다.

병원체

Candida auris내성 진균으로, 기존 칸디다균과 달리 환경 표면, 의료 기구, 피부에서 오랜 시간 생존할 수 있는 특징이 있습니다.

감염 경로

  • 직접 접촉: 감염 환자 및 무증상 보균자와의 신체 접촉
  • 간접 접촉: 오염된 의료기구·환경·의료진 손 등을 통해 전파 (직접 접촉보다 흔함)
  • → 환경과 피부에서 장기간 존재 가능하여 병원 내 감염 관리가 매우 중요

주요 증상

  • 건강한 사람: 대부분 무증상
  • 면역저하 환자:
    • 귀 감염(중이염)
    • 상처 감염
    • 혈류감염(패혈증) → 발열, 통증, 피로 동반

치명률

전신감염의 치명률은 23~67%로, 감염 종류와 국가의 보건 수준에 따라 차이가 큽니다.

진단 방법

  • 혈액·체액 검체에서 C. auris 배양
  • 질량분석기(MALDI-TOF) 검사
  • C. auris 특이 유전자 염기서열분석

치료

  • 환자의 면역상태 및 감염 부위에 따라 항진균제 치료
  • 고용량 항진균제 투여 필요할 수 있음
  • Clade I 균주는 내성률이 높아 치료가 어렵고, 침습성 감염 시 장기간 치료·입원이 필요

예방 및 관리

예방

  • 조기 진단 및 신속한 치료
  • 의료기관 내 철저한 감염관리 (환경 소독·기구 관리)
  • 환자와 접촉 시 손 위생 철저

환자 관리

  • 격리병상에서 치료·관리
  • 접촉자 관리: 능동감시 및 접촉주의 시행
  • 환경 관리: 사용한 기구 및 병실 환경 철저 소독

.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