안전보건관리체계에서 안전관리자의 주요 업무 총정리
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안전보건관리체계에서 안전관리자의 주요 업무 총정리

by 좋은 것 나누기 2025. 7. 22.
반응형

최신 산업안전보건법을 기반으로 한 실무 가이드

📌 목차

    1. 안전보건관리체계에서 안전관리자의 역할
    2. 안전관리자의 핵심 업무 6가지
    3. 업무별 세부 내용 및 체크포인트
    4. 관련 법령과 실무 적용


1. 안전보건관리체계에서 안전관리자의 역할

안전관리자는 사업장 내 산업재해 예방과 안전 문화 구축을 이끄는 핵심 인력입니다.
산업안전보건법에 따라 반드시 선임되어야 하며,
사업주 및 안전보건관리책임자를 기술적으로 보좌하고, 관리감독자·현장근로자에게 지도 및 자문 역할을 합니다.

2. 안전관리자의 핵심 업무 6가지

① 법규 준수 및 안전관리규정 지도

  • 산업안전보건법 등 관련 법령, 취업규칙, 사내 안전보건관리규정 이행 지도·조언
  • 산업안전보건위원회 노사협의체의 결정사항 점검·실행

② 위험성 평가 계획·지도

  • 위험성평가 실시 지도, 방법 교육, 결과 모니터링
  • 위험요소 도출과 개선을 위한 지속적 업무 지원

③ 현장 순회점검 및 불안전 요소 개선

  • 주기적 순회점검, 불안전 요소 발견 시 신속 조치 건의
  • 법령 위반사항 실질적 개선방안 제시, 개선 후 재점검

④ 안전교육 시행 및 근로자 지도

  • 신규 입사, 정기, 특별 등 각종 안전보건교육 실시에 관한 보좌·지도·조언
  • 교육자료 작성 및 배포, 교육 효과 점검

⑤ 산업재해 대응 및 재발방지

  • 사고 발생 시 원인조사, 재발방지 기술 지원
  • 재해 통계 관리 및 분석, 향후 대책 수립

⑥ 각종 안전 문서·자료 관리

  • 점검·교육·조치 등 안전 관련 문서 체계적 기록·보관
  • 개선조치 보고서, 산업재해 통계 등 보고서 작성

안전관리자의 핵심 업무 6가지

3. 업무별 세부 내용 및 체크포인트

  • 보호구 적격품 선정 및 착용지도: 적합품 구비 및 사용 교육
  • 신규 설비·공정 도입 시 안전관리: 사전 점검 필수
  • 안전보건위원회 운영·보고: 회의자료 작성, 점검, 권고사항 이행

4. 관련 법령 및 실무 적용 팁

  • 산업안전보건법 시행령, 취업규칙, 노사협의체 합의사항에 따라 유연 운영
  • 보건관리자·관리감독자와 유기적 협업 필요

 

안전관리자는 사업장 안전·보건의 컨트롤타워로, 위험예방부터 재해대응, 교육, 기록관리까지
토탈 안전경영의 중추 역할입니다.
현장과 조직의 안전관리를 위해 핵심 업무를 주기적으로 점검하세요!

 


.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