시간제 아르바이트, 단기 근로자라면 꼭 알아야 할 필수 정보!
‘주휴수당 포함 시급’의 개념부터 계산법, 단시간 근로자 적용 방법까지 한눈에 정리해드립니다.
간편 자동 계산기 코드도 함께 제공하니 끝까지 확인해보세요!
✅ 주휴수당 포함 시급, 왜 헷갈릴까?
많은 사업장에서 시간제 근로자와 계약할 때
**‘주휴수당 포함 시급’**이라는 문구를 계약서에 명시합니다.
하지만,
- “통상 시급은 얼마야?”
- “주휴수당은 얼마나 받는 거지?”
- “계산 기준이 맞는 걸까?”
이처럼 혼동하는 경우가 많습니다.
이제부터는 명확한 공식과 실제 사례로 속 시원하게 알려드립니다!
🧮 주휴수당 포함 시급 계산법
📌 주휴수당 포함 시급이란?
: 근로 시간에 대한 시급(통상임금) + 주휴수당을 나눠서 포함한 금액
💡 계산 공식
항목 계산식
통상 시급 | 주휴 포함 시급 ÷ 1.2 |
주휴수당 분할금 | 주휴 포함 시급 – 통상 시급 |
여기서 1.2는 주 5일 근무 시 주휴수당이 약 20% 가산되는 점을 반영한 수치입니다.
📘 실전 사례로 이해하기
예시 1
- 계약 시급: 18,000원 (주휴수당 포함)
항목 계산
통상 시급 | 18,000 ÷ 1.2 = 15,000원 |
주휴수당 분할금 | 18,000 – 15,000 = 3,000원 |
주휴수당 총액 (주 8시간 기준) | 15,000 × 8 = 120,000원 |
🕒 단시간 근로자의 주휴수당 계산
주 15시간 미만 근로자는 주휴수당 지급 대상이 아닙니다.
근로기준법 및 고용노동부 행정해석에 따라 명확히 규정되어 있습니다.
❓ 자주 묻는 질문 (FAQ)
Q. ‘주휴수당 포함 시급’으로 계약해도 되나요?
A. 가능합니다. 단, 근로계약서에 명시하고 계산이 정확해야 합니다.
Q. 정기적으로 연장근로가 있는데 주휴수당 산정에 포함되나요?
A. 아닙니다. 소정근로시간만 기준이 됩니다.
Q. 아르바이트생인데 주 14시간 근무 중입니다. 주휴수당 받을 수 있나요?
A. 안됩니다. 주 15시간 이상 근무자만 해당됩니다.
✅ 핵심 요약
구분 주휴수당 발생 여부 계산 방식
주 15시간 이상 | 발생함 | (근로시간/40)×8시간×시급 |
주 15시간 미만 | 발생 안함 | 해당 없음 |
주휴 포함 시급 계약 | 가능 | 통상임금 = 포함 시급 ÷ 1.2 |
📌 마무리하며…
‘주휴수당 포함 시급’은 고용주와 근로자 모두가 혼동하기 쉬운 개념입니다.
하지만 오늘 안내해드린 공식과 계산법을 숙지하시면,
불필요한 분쟁 없이 명확한 계약과 지급 기준을 마련할 수 있습니다.
👉 지금 바로 내 계약 시급이 올바르게 계산되었는지 확인해보세요!